기자들과 함께하는 국민밥상포럼, 국회 미디어 살롱 개최...

  • 등록 2025.04.21 21:14:30
크게보기

- 먹거리 기본권 보장, 식량은 공공재...
- 청년 농어업인에 대한 획기적인 지원 강화...
- 농수산물 유통구조 단순화...
- 농어업 관련 정확한 통계 요청...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김학영 기자 | 지속가능국민밥상포럼(이하 국민밥상포럼, 대표 백혜숙)은 21일,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실에서 ‘국가식량, 남태령을 넘어 국민기본권으로’라는 주제로 ‘기자들과 함께하는 국회 미디어 살롱’을 개최하였다.

 

이번 미디어 살롱은 국회 박주민 복지위원회 위원장, 임미애 농해수위원회 위원이 참석하여 축사를 하였고, 문대림 농해수위 위원도 축하의 글을 보내왔다.

 

 

이어진 행사에는 신년기획으로 ‘남태령 너머’라는 기획 기사를 연재한 이재덕 기자(경향신문), 농수산식품 유통 체계의 복잡함을 지속적으로 취재해온 이오성 기자(시사인), 김양진 기자(한겨레 21) 및 농어업 전문지 기자의 발제로 이어나갔다.

 

이재덕 기자는 “농어업, 농어촌의 고령화와 기후 위기 등 생산 여건의 어려움으로 지속적인 먹거리 생산이 위협받고 있다”라며, “지속적인 국민 먹거리 보장을 위해서는 청년 농어업인에 대한 획기적인 지원과 살기 좋은 농어촌 마을 만들기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오성 기자는 “농수산물 유통구조의 복잡함으로 생산자가 수취하는 가격과 소비자 가격의 편차가 너무 크다”라며, “농수산물 유통의 혁신이 차기 정부의 주요 과제가 되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김양진 기자는 “정부의 잘못된 쌀 소비 통계로 벼농사를 줄여야 한다는 기사들이 국민에게 알려져 정책의 왜곡이 있었다”라고 지적하며, “농어업 관련 정확한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한 정책의 실현이 필요하다”라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한편, 참석자들도 다양한 의견과 지적으로 이어졌다. 시민사회혁신연대 김수인 대표는 과거 이재명 더불어 민주당 전 대표가 일본의 ‘쌀 파동’을 교훈삼아 식량안보와 농업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대비가 필요하다는 언론 인터뷰의 주장을 소개했다.

 

그 밖에도 이선엽 박사는 ‘지구 온난화’와 이산화탄소 배출에 관한 프랑스 석학 기 소르망(Guy Sorman)의 견해를 소개하면서, 농업생산 증대와 이산화탄소 배출이 ‘온난화와 기후위기’의 주범으로 연결하는 것은 신중하고 비판적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지배담론의 변화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행사를 기획한 백혜숙 대표는 ‘먹거리 기본권’은 국가로부터 보장받아야 하며 식량은 공공재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국민밥상포럼은 농어업ㆍ농어촌 및 먹거리 관련 언론의 태도를 지속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며, 또 다른 형태의 2차 미디어살롱을 개최할 계획을 밝혔다.

 

 

농어업과 식량관련 언론 상황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윤석인 희망제작소 이사장, 오성규 더민주서울혁신회의 상임고문, 나용원 농산물중도매인직거래정산조합 상무, 노계호 한국농수산유통상생발전협회 회장, 이두원 전국 한우조합연합회 회장, 김종국 한국발명협회장, 이선엽 공공문제와 제도연구소장, 김수인 시민사회혁신연대 대표 등이 참여하였다.

 

                                  김학영 기자 / 12345hyk@naver.com

 

김학영 기자 12345hyk@naver.com
Copyright @외교저널(Diplomacy Journal) Corp. All rights reserved.


주 소 :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두산위브파빌리온 1203호 최초등록일 : 1996년 UN News로 창간 2009년 외교저널로 제호 변경 종로 라00125 | 등록일 : 2009-04-14 | 등록번호: 서울. 아54606 | 등록일 2022-12-13 | 발행인 : 주식회사 담화미디어그룹 이존영 | 편집인 : 이존영 | 부사장 이정하 | 편집국장 이갑수 | |미국 지사장 김준배 | 종교부장 장규호 | 전화번호 : 02-3417-1010 | 02-396-5757 E-Mail: djournal3417@gmail.com Copyright @외교저널(Diplomacy Journal)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