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정하 기자 | 연지성 작가의 초대전이 서울 강남구 도산대로 50길49, 1층 지에스갤러리에서 "자연의 결"이라는 주제로 7월 15일~11월 17일까지 열린다. 이번 전시회의 주제는 "자연의 결"즉 지성과 바다를 주제로한 연지성 작가는 이번 전시를 통해 우리의 나아갈 길은 언제나 하나로서, "평화적 통일"을 염원하는 그림을 화폭에 담고 있다. 남북의 평화적 하나 됨은 전 세계로 나아가는 다리 역할을 할 것이라고 작가는 말하고 있다. 소리 없는 두드림은 커다란 파장이 되어온 몸을 울리듯 작가는 자신의 작품을 통해 긴 역사 속에서도 우리 국민의 하나 됨은 평화와 사랑이 밑바탕임을 보여주고 있다. 작가는 오래전 상해 임시정부를 방문하여 입구에 걸린 사진 한 장이 자신의 인생을 바꾸었다고 고백하고 있다. 대한민국 국민으로 나라를 지키고자 희생되신 순국선열의 앞에 서 있다는 것이 얼마나 감사하고 벅찬지 온몸의 전율이 눈물로 흘러내렸다고 한다…. 그 후 작가는 모든 작품에 우리나라의 의로운 역사를 담아가기 시작 하였다. 전시작품설명 이번 전시회에는 분단의 아픔을 통일로 이루어낸 독일에서 세 가지 모티브로 전시장을 꾸민다. 소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정하 기자 | 동시대 미술에서 시간이라는 개념은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작품에서 시간이 재현되었다고 하는 것은 무엇일까? 재현은 작품이 그 자체를 넘어선 어떤 주제를 언급하는 상징적인 과정이다. 시각예술의 매체는 고정된 형태가 많은 반면, 시간은 변화에 의해서만 측정되고 그 모습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이민경 작가의 채워지는 시간을 보여주는 작업안에서 덧없음, 영속, 변화, 순간, 지금, 그때, 지속, 일시정지 나아가 분, 시, 연, 과거, 현재, 미래, 영원까지도 느낄 수 있기를 바란다. 이민경 작가에게 있어서 쌓는다는 것은 채운다는 것이기도 하고 비운다는 것이기도 하다. 흙을 빚어 돌담을 쌓듯 혹은 돌을 켜 탑을 쌓듯 무언가를 쌓는다는 것은 공간을 채우는 일이며, 쌓고난 그 배경을 비워내는 상징적인 작업이다. 작가는 비워내기를 하면서 비워낸 것을 다시금 다른 공간에 채워간다. 작가 작업의 두 개념의 혼용은 첫째, 캔버스라는 지지체에 아크릴이라는 물성을 채우는 것이며, 둘째, 지지체에 종이를 켜켜이 쌓아 올리는 것이다. 또한 시간이라는 삶을 쌓기와 채우기라는 과정을 통해 삶의 일부를 보여주고자 한다. 쌓기와 채우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정하 기자 | 석창우 화백은 매번 선보이는 작품마다 분명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그것은 삶에 대한 의지의 표명이다. 마치 온갖 ‘역경이나 고난마저도 내게 성취감의 행복을 주기위해 마련된 선물’이라고 전해주는 듯하다. 그래서 그의 작품을 보고 있으면 왠지 모르게 기분이 좋아진다. 아마도 ‘새로운 희망’이 불현 듯 불끈 솟는다는 표현이 더 가까울 듯싶다. 흔히 석창우 화백을 가리켜 ‘대한민국 제1호 의수義手화가’라는 타이틀이 따라 다닌다. 전기기사로 일하던 29세 때 현장 작업 중 2만 볼트의 감전사고로 두 팔을 잃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에게 신체적 장애는 부끄러움이 아니다. 오히려 양팔이 온전했던 전기감전 사고 이전의 30년 보다, 사고 이후 화가의 길을 걸어온 30년의 삶이 더 소중하고 행복했다고 말한다. 의수가 드러나는 민소매를 익숙하게 입은 자신감 넘치는 행동이나, 의수 갈고리에 붓을 꽂고 선보이는 자유분방한 붓놀림은 보고 있으면 절로 에너지가 샘솟는다. 평소 “사고로 인해 수묵화에 입문하고 수묵크로키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하며 보낸 힘겨웠던 시간들마저 하느님의 섭리이고, 계획해 놓으신 삶의 여정”이라고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