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전득준 기자 |거친 이미지의 중첩을 통해 시간의 흐름과 변화를 암시하고 석판화를 단순한 기법이 아니라, 철학적 탐구의 도구로 활용하여 작품을 펼치고 있는 백승관 – 석퐌화전이 갤러리 스틸(박경숙 대표, 안산시 상록구 조구나리 1길 39)에서 8월 30일까지 열리고 있다. 석판화(Lithography)는 가장 회화적인 판화 기법 중 하나로, 금속판 위에 필름을 이용해 그림을 그린 후 인화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는 사진 인화 과정과 유사하지만, 종이가 아닌 금속판에 현상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닌다. 작가는 이러한 기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이미지와 메시지를 담아내며, 기계적 복제와 대량 생산 시대 속에서도 예술이 지닌 유일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백승관 작가는 기본적으로 석판화라는 매개적 특성을 뛰어난 역량으로 활용해 자신이 지정한 지점을 보다 사유적인 방식 아래 전개시키고 있음을 목도(目睹)하게 한다. 그는 회화영역의 폭을 마음껏 확장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름의 복잡함을 숙명처럼 받아들인 석판을 통해 자신만의 새로운 예술적 프로세스를 만들어 간다. 매우 섬세하면서도 여백의 넉넉함이 돋보이는 작품들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전득준 기자 | 수채화 물감을 찍은 작은 붓으로 한 올 한 올의 수놓아진 이미지를 사실처럼 재현하여 꿈과 소망을 회화에 담아내는 정하진작가 “꿈길에 수 놓다” 초대개인전이 갤러리 스틸(안산시 상록구 조구나리1길 39)에서 7월 13일 까지 열리고 있다. ‘수(繡) 놓기’라는 전통적 규방 공예를 회화로 치환하는 작가는 수놓기의 전통 공예의 양식을 빌려와 전개하는 회화적 성과로 화단에서 독창성을 인정받고 있다. 실과 바늘을 들어 수를 놓는 방식을 붓과 수채화 물감을 통해서 대치하는 작가의 고유한 해석을 통해 창출된 독특한 형상을 베갯모 문양 속에 담아, 전통적인 수놓기 형상을 해체하고 현대 회화로 대상 재현의 정밀한 조형 언어로, 전통의 현대적 변용으로 대상에 대한 정밀한 재현의 언어를 고수하면서도 창의적인 화면의 배치와 수채 특유의 담백하고 투명한 색채로 채색의 침윤에 의한 투명, 담백한 색조의 사실적 재현은 극사실주의적 묘법이다. 맑고 소박한 자연스러움을 지닌 담백한 감흥과 기운으로 가득 차 있는 화면은 현란한 기교와 주장들이 난무하는 시류와 환경에도 상관함이 없이 묵묵하게 자신을 지키고 삶을 반추해 가면서 소박하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전득준 기자 | 쌓고 채우기 작업을 통해 시간의 흔적을 담아 자신만의 정체성을 찾아가며 현재를 살아가는 시간의 흔적을 독특한 자신만의 조형 언어로 표현해 내는 이민경 개인전 – 불안정한 질서 (쌓고 채우기의 시간) 전시가 갤러리 스틸 (안산시 상록구 조구나리 1길 39)에서 5월 24일 까지 열리고 있다. 작가는 그림이라고 일컫는 화면위에 시간(종이띠)을 채워가며 지금 현재를 살아가는 모습을 증명하는 작업을 하는 작가다. 캔버스 위에 종이를 켜켜이 쌓아올려 화면을 가득채운 작품은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노동) 자체가 목적이 된다. 매일 매일, 하루 하루를 살아가는 우리는'첩첩산중'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하루를 살고, 그 시간 동안의 근심과 걱정이 쌓여 남아 있게 된다. .걱정을 사라지게 하기 위한 실천으로 반복적이고 노동집약적인 쌓고 채우기의 작업은 자신만의 정체성을 찾아가며 현재를 살아가는 작가의 시간의 흔적이다. 작가는 쌓기와 채우기라는 개념으로 집적된 일상의 시간을 표현하고자 한다. 이 과정을 함축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종이를 잘라 붙이면서 화면을 채우는 동시에 쌓는다. 작가에게 있어서 쌓는다는 것은 채운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