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예술 "민홍규 같은 사람 여럿… 국새 말고도 터질 일 많아"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편집자문 위원 | 글 / 공예 운동가 이칠용이 말하는 '한국 공예예술의 현주소' 2006년 여름 민홍규(56·전 국새제작단장)씨가 서울 중구 장교회관 지하상가에 있는 한국공예예술가협회에 들어섰다. 공예·나전칠기 책이 사방으로꽂혀 있고, 보석함·목공예 수저·펜꽂이 등 온갖 공예품이 있는 18평짜리단출한 사무실이다. 사무실 안에는 작은키(160㎝)·둥근 얼굴의 이칠용(64·한국공예예술가협회장)씨가 서류 더미와 책더미에 폭 파묻혀 있었다. 민씨가 부탁했다. "국새 보관 장식품을 만들어 줄 장인(匠人)을 찾고 있습니다. 동참해주셨으면 합니다." 이씨는 다음날 국새를 싸는 보자기·매듭·자물쇠·함 등을 만드는 장인 12명의 연락처를 정리해 민씨에게 건넸다. 이 가운데 2006년 말 민씨가 실제로 섭외한 사람은 4명. 이씨 추천으로 국새제작단으로 일했던 중요무형문화재 A씨는 "민씨가 예산이 부족하다고 해서 원래 700만원 받아야 할 것을350만원만 받았다"고 했다. 민씨와 이칠용씨는 어떤 사이기에 이런 부탁을 했을까? A씨가 말을 잇는다. "장인들은 이야기해보면 서로 통해요. 그 사람(민홍규)은 아니었어요. 원래 공예계에서 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