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범죄 소굴의 나라, 캄보디아] 제2편 부재한 국가, 무기력한 외교...정부는 어디 있었나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준석 기자 | 한국인 대학생 박모(22) 씨가 캄보디아에서 납치·살해된 지 두 달. 그의 죽음이 세상에 알려지고 나서야 정부는 “총력 대응”을 외쳤다. 하지만 그 사이, 박 씨는 이미 싸늘한 주검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국민들은 냉정하게 물었다. “정부는 대체 어디에 있었나.” 늑장 공조와 책임 미루기, ‘절차’에 가려진 생명, 7월 말, 피해자의 가족이 “동생이 감금된 것 같다”며 신고했을 때, 경찰은 곧바로 휴대전화 위치가 해외로 잡힌 사실을 확인했다. 하지만 그 즉시 현지 수사 요청이나 긴급 공조가 이루어지진 않았다. 경찰은 외교부로, 외교부는 공관으로, 공관은 현지 경찰로, ‘절차’라는 이름의 릴레이 속에서 골든타임은 허무하게 흘러갔다. 수많은 서류와 공문, ‘관할 확인’이라는 명목 아래 한 젊은 생명의 외침은 행정의 벽에 막혀 사라졌다. 그리고 두 달 뒤, 박 씨의 시신이 발견되자 정부는 그제야 부검과 합동수사단 파견을 발표했다. 마치 모든 것이 ‘이제야 시작’인 듯한 태도였다. 국민의 생명이 두 달이나 방치된 뒤에야 “총력 대응”이라니, 이것이 과연 ‘국가’가 존재하는 사회의 모습인가. 대통령의 지시로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