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김학영 기자 | 대구시의회 하중환 의원(달성군1)은 대구시를 상대로 서면 시정질문을 통해 대구시의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줄 것을 촉구했다.
하 의원은 “‘2024년 외래관광객조사’에 따르면, 방한 고려 관광활동 중 ‘식도락 관광’이 62.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2024년 국민여행조사’에서도 여행지에서 활동 가운데 ‘음식관광(지역 맛집 등)’은 ‘자연 및 풍경감상’ 77.4%에 이어 61.7%로 2위를 차지했다”고 전했다.
그리고, “대구는 지역 고유의 다채로운 먹거리를 보유한 도시로서, 대구 지역 식도락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육성·지원해 음식관광을 통한 국내외 관광객을 유치하고, 대구시가 추진하고 있는 체류형 ‘야간관광’ 정책과도 유기적으로 연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 의원은 “대구시는 ‘대구 10味’를 지정해 맛고장 대구를 홍보하고 있으나, ‘대구 10味’를 포함한 다양한 음식콘텐츠와 연계된 관광이 필수적이다. 관광의 시작인 ‘음식’을 콘텐츠화해 외래관광객 방한에 대비하고, 국내 관광객 유치에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일례로 “대구 서문시장의 ‘먹거리 체험’은 이미 전국적으로 유명세를 떨치고 있으며, 최정산 힐링숲이 소재한 대구 남부권의 관문인 ‘가창’을 영상 플랫폼에서 검색하면, 관광객들이 ‘가창 찐빵’을 먹는 모습부터 볼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타 시·도의 경우, 관광전략의 하나로 음식관광 활성화를 모색하면서, 별도 조례를 제정(경기, 전북, 전남, 경북)하여 관련 사업의 기반 조성과 행정·재정적 지원을 하고 있다”고 전하며, 대구시는 어떠한 음식관광 대책이 있는지 물었다.
또한, △최근 불거진 여수식당의 1인 관광객 홀대, 축제 바가지 요금 등을 개선할 건전한 음식관광문화 조성에 대한 추진 사항 △음식관광문화 조성을 위한 교육·컨설팅과 대구시의 정책연구 현황 △‘슈퍼 미식가’로 알려진 MZ세대를 겨냥한 음식관광 홍보마케팅 전략에 대해서도 답변을 요구했다.
끝으로, 하중환 의원은 “달성군 외국인 관광객이 2020년 2만 7천여 명에서 2024년에는 30만 명을 넘어서며 11배나 증가했다. 기초지자체의 우수한 관광전략이 한데 어우러진 결과”라며, “이를 본보기 삼아 대구시와 구·군이 더욱 협력하고, 대구시의 적극적인 재정·행정적 지원을 통해 더 큰 시너지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