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관광의 산업화로 세계를 잇다...청정자연에서 미래경제로

- 숫자가 아닌 구조, 관광이 경제를 만든다 - 제주는 더 이상 단순한 관광지가 아니다. - 제주, 자연과 사람이 머무는 미래관광도시 - 제주의 관광은 도민이 만들고 세계가 함께합니다.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존영 기자 | 이존영 외교저널 발행인 겸 세계문화교류정책연구소장 이제 제주는 관광이 곧 경제이고, 산업의 구조를 바꾸는 거대한 전환의 중심에 서 있다. 팬데믹 이후에도 연간 1,300만 명대 관광객을 유지하고, 관광수입 7조 원을 넘어선 제주는 이미 ‘관광경제도시’로 진화하고 있다. 그러나 내부에서는 여전히 “관광객이 줄어 경기가 어렵다”는 말이 들린다. 이것은 단순한 수요의 문제가 아니라, 산업 구조의 혁신이 늦어진 구조적 한계를 보여준다. 관광객 수가 아닌 체류 시간, 소비의 질, 지역 순환효과가 진짜 성장의 지표다. 지금 제주는 ‘많이 오는 관광’에서 ‘깊이 머무는 산업’으로 전환해야 한다. 관광의 본질은 방문이 아니라 경험의 경제화, 그리고 데이터 기반의 산업화에 있다. 이제 관광정책은 감성에서 데이터로, 서비스에서 산업으로 나아가야 한다. 미래 관광제주, 청정자연에 인문과 기술을 입히다. 세계가 제주를 바라보는 시선은 이미 다르다. 유네스코 복합유산 도시, 세계자연유산 3관왕, 대한민국 지역관광발전지수 6연속 1위. 그리고 글로벌 여행 플랫폼 트립닷컴이 발표한 ‘세계 100대 관광도시’ 중 33위,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