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존영 기자 | 윤석열 대통령 부부는 찰스 3세 영국 국왕의 초청에 따라 11월 영국을 국빈방문할 예정이다. 이번 방문은 찰스 3세 국왕의 대관식 이후 최초 국빈방문이자, 한·영 수교 140주년을 맞아 이루어지는 국빈방문이라는 의의가 있다.
By Lee Jon-young President Yoon Suk-yeol and First Lady Kim Keon-hee made a surprise visit to the Paldo Market, which is open for Chuseok at Yongsan Children's Garden on the morning of September 24. Adults shopping for holy items at the market and children playing on the lawn were delighted to see them. The president and his wife took photos with each child who visited the market with their parents and wished them a happy holiday. The President and his wife first visited the booths for traditional games such as tteokmechigi and tuho and enjoyed traditional games with the children, asking them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존영 기자 | 윤석열 대통령 부부는 9월 24일 오전 용산어린이정원에서 추석을 맞아 운영 중인 팔도장터를 깜짝 방문했다. 팔도장터에서 성수품을 구입하던 어른들과 잔디마당에서 뛰놀던 아이들은 대통령 부부가 나타나자 반갑게 맞았다. 대통령 부부는 부모와 함께 장터를 방문한 아이들과 일일이 사진을 찍으며 방문객들에게 “즐거운 명절되세요”라고 화답했다. 대통령 부부는 먼저 떡메치기, 투호 등 전통놀이 체험부스를 찾아 아이들과 함께 전통놀이를 즐기며 용산어린이정원에는 자주 오는지, 이번 명절은 어떻게 보내는지 등을 물으며 대화를 나눴다. 대통령 부부는 이어 대기업과 소상공인이 협업해 창업 성공사례를 이어나가는 상생부스를 방문해 청년 상인들을 격려했다. 대통령은 여주 출신 청년 로컬 크리에이터가 개발한 여주 쌀 마카롱의 제조 방법 등을 들었으며, 이어 스타벅스가 소상공인과 협업해 개발한 옥천 단호박라떼, 공주 밤 라떼 등에 대한 설명과 함께 단호박라떼를 직접 시음하기도 했다. 이후 대통령 부부는 지역우수 농특산물을 판매하는 장터로 이동해, 강원 황태포, 충주 복숭아, 상주 곶
By Lee Jon-young President Yoon Suk-yeol, who is in New York for the 78th session of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held his first summit with Ecuadorian President Guillermo Lasso on the morning of September 21. During the meeting, President Yoon requested Ecuador's support for the 2030 Busan World Expo and exchanged views on the development of bilateral relations. President Yoon expressed his pleasure to hold his first bilateral meeting since taking office with President Lasso, who has deep ties to Korea as he served as the Honorary Consul of Korea in Guayaquil, Ecuador (December 2000-J
By Lee Jon-young President Yoon Suk-yeol, who is in New York for the 78th session of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held a meeting with President Stevo Pendarovski of North Macedonia on the afternoon of September 21, the first such meeting since the two countries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in 2019. President Yoon congratulated North Macedonia on its membership in the Bureau International des Expositions (BIE) and requested North Macedonia's support for the 2030 Busan World Expo. Yoon said he looks forward to expanding cooperation with North Macedonia, which has a competitive automo
By Lee Jon-young President Yoon Suk-yeol, who is in New York for the 78th session of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held a summit with Slovenian President Nataša Pirc Musar on the afternoon of September 21. During the meeting, President Yoon requested Slovenia's support for the 2030 Busan World Expo and exchanged views on ways to develop bilateral relations. The two leaders noted that South Korea and Slovenia have been a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summit coming on the heels of three foreign ministerial meetings this year, and hoped to use the meeting as an opportunity to further revi
By Lee Jon-young President Yoon Suk-yeol, who is in New York for the 78th session of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held a luncheon with the leaders of six Pacific Island Countries and the Secretary General of the Pacific Islands Forum (PIF) on Sept. 22. President Yoon and the Pacific Islander leaders shared their assessment that the luncheon reinforced the momentum in the development of Korea-Pacific Islands relations, which was built upon the first Korea-Pacific Islands Summit held in Seoul in May. President Yoon reiterated that the Republic of Korea will continue to build a network of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존영 기자 | 제78차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9월 22일 오전 '알렉산다르 부치치(Aleksandar Vučić)' 세르비아 대통령과 취임 이후 처음으로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번 회담에서 윤 대통령은 2030년 부산 세계박람회에 대한 세르비아의 지지를 요청하는 한편, 양국 관계 발전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양 정상은 이번 정상회담이 최근 '아나 브르나비치(Ana Brnabić)' 세르비아 총리의 방한(9.8-11)에 이어 개최됐다면서 양국간 소통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평가하고, 이번 회담을 계기로 고위급 교류를 더욱 활성화해 나가자고 했다. 양 정상은 최근 양국이 투자보장협정에 서명(7.8)한 것을 평가하고, 앞으로 한-세르비아 경제동반자협정(EPA) 협상도 조속히 개시하여 경제 협력의 제도적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해 나가자고 했다. 윤 대통령은 한국이 세르비아의 수요에 부합하는 개발협력 사업을 추진하고자 노력해 왔다고 하고, 앞으로도 한국이 강점을 보유한 ICT, 공공행정 등 분야를 중심으로 세르비아 정부의 역량 강화를 지원해 나가겠다고 했다. 부치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존영 기자 | 제78차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 참석을 위해 뉴욕을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9월 22일 오전 「무함마드 시아 알-수다니(Mohammed Shia’ al-Sudani)」 이라크 총리와 취임 이후 처음으로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번 회담에서 윤 대통령은 2030 부산 세계박람회에 대한 이라크의 지지를 요청하는 한편, 양국 관계 발전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윤 대통령은 이라크가 우리의 중점 인프라 협력국으로서 1977년 이라크 움카슬 부두공사 건설사업 이후 정유공장, 항만, 신도시, 공군기지 등 이라크의 주요 국책사업에 우리 기업들이 참여해 왔음을 평가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양국 인프라 핵심사업 중 하나인 ‘비스미야 신도시 사업’의 조속한 재개를 위한 총리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수다니 총리는 이라크의 재건과 국가 발전에 한국 기업들의 참여가 매우 긴요하다고 하면서, 한국 정부 및 기업과 더 많은 분야에서의 협력을 통해 양국 관계가 강화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특히, 수다니 총리는 이라크와 튀르키예, 유럽을 연결하는 회랑 도로 건설과 거점도시 건설에 한국 기업들이 참여해 주길 바란다고 했고,
글 / 김찬미/동신대 군사학과(육군장교후보생) 다가오는 2023년 10월을 반겨주는 10월 1일 국군의 날. 1950년 10월 1일 한국군이 남침을 한 북한 공산군을 반격하고 38도선을 돌파한 날로 성공의 의미에서 우리 한국군의 위용과 전투력을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 과시하고 국군장병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국군의 날로 지정하였다. 오늘날 2023년 10월 1일 우리는 75주년 국군의 날을 맞이하면서 또 한 번 대한민국 국군의 발전과 사기 진작을 가져올 수 있게 되었다. “국군의 날”은 지금의 나에게 더할 나위 없이 큰 의미가 있는 날이다. 오랜 시간 동안 장교를 꿈꿔왔고 지금은 그 꿈에 도달하기 위해 여조삭비如鳥數飛의 정신으로 끊임없이 노력했기에 오늘의 나에게는 뜻깊은 날인 것이다. 그렇기에 나에게 의미가 있는 것처럼 모두에게 75년 전의 오늘은 나에게 잊지 못할 역사로 남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리의 역사는 이렇게 만들어졌다. 우리는 오랜 시간을 희극과 비극을 오가면서 살아왔고 그러한 삶 속에서도 끊임없이 수많은 역사를 남겼다. 물론 그 결과가 좋다 나쁘다고 말을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우리의 역사는 애국 애족의 정신과, 진정한 용기, 임전무퇴의 마음으로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존영 기자 | 제78차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9월 21일 오후 '아리엘 앙리(Ariel Henry)' 아이티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번 회담에서 윤 대통령은 2030년 부산 세계박람회에 대한 아이티의 지지를 요청하는 한편, 양국 관계 발전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윤 대통령은 아이티가 카리브 국가 중 최초로 우리나라와 외교관계를 수립한 나라로, 지난 7월 국무총리 회담과 이번 정상회담이 연이어 개최되는 등 고위급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평가한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아이티 치안 상황과 관련한 협력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교역·투자, 보건의료, 개발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양국 간 실질 협력이 확대되고 한국이 아이티의 경제사회 발전에 지속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앙리 총리는 지진, 콜레라 대응에 대한 인도적 지원, 취약계층 대상 지원, 치안역량 강화 등 그간 한국이 아이티에 제공해 온 무상원조 지원에 사의를 표했으며, 올해 우리 정부에서 추진 중인 치안용품 지원 등이 아이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또한, 보건의료 협력을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존영 기자 | 제78차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9월 21일 오후 '나타샤 피르츠 무사르 (Nataša Pirc Musar)'슬로베니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번 회담에서 윤 대통령은 2030년 부산 세계박람회에 대한 슬로베니아의 지지를 요청하는 한편, 양국 관계 발전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양 정상은 한국과 슬로베니아가 올해 세 번의 외교장관 회담에 이어 이번에 정상회담을 개최하면서 활발히 소통해오고 있음을 평가하고, 오늘 회담을 계기로 앞으로 양국간 고위급 교류를 더욱 활성화해 나가자고 했다. 윤 대통령은 슬로베니아가 계획 중인 신규 원전 건설사업에 경쟁력 있는 한국의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한국 기업들의 중·동유럽 진출 주요 관문인 슬로베니아 코페르시(市)가 우리나라 부산시와 지난 5월에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것을 계기로 양측간 항만․물류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가자고 했다. 이에 피르츠 무사르 대통령은 양측간 제반 분야의 실질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양측이 함께 노력하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윤 대통
By Lee Jon-young President Yoon Suk-yeol delivered a keynote speech at the 'New York Digital Vision Forum' held at New York University on September 21 in the U.S., with representatives from the U.S. and world-renowned scholars in attendance, and presented the basic principles of the 'Digital Bill of Rights', a new digital order. The forum was held at the same venue exactly one year after the New York Initiative ('22. 9. 21), which first proposed the need for international solidarity in establishing a new order in the era of deepening digitalization. Since the announcement of the New York Initi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존영 기자 | 제78차 유엔 총회 고위급 회기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을 방문중인 윤석열 대통령 부부는 9월 21일 오후 '산티아고 페냐(Santiago Peña)' 파라과이 대통령 부부를 초청하여 오찬을 가졌다. 이번 오찬에서 윤 대통령은 2030 부산 세계박람회에 대한 파라과이의 지지를 요청하는 한편, 양국 관계 발전에 관한 의견을 교환했다. 윤 대통령은 올해 8월 페냐 대통령의 취임을 다시 한번 축하하고, 작년 양국 수교 60주년에 이어 올해 파라과이의 신정부 출범을 계기로 정치, 경제, 문화 등 제반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남미시장의 관문인 파라과이에 진출한 한국 기업이 고용 창출 등 남미의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음을 평가하고, 양국간 투자협력을 가속화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파라과이가 한-메르코수르(Mercosur) 무역협정(TA) 협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향후 협상에서 상호 호혜적인 결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자고 했다. 페냐 대통령은 파라과이내 한인사회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존영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은 미국 현지시간 9월 21일 09:30 뉴욕대학교에서 개최된 ‘뉴욕 디지털 비전 포럼’에서 미국 대표 인사들과 세계적 석학들이 참석한 가운데, 기조연설을 통해 새로운 디지털 질서 규범인 「디지털 권리장전」의 기본 원칙들을 제시했다. 이번 포럼은 작년 뉴욕구상(’22. 9. 21)을 통해 디지털 심화시대의 새로운 질서 정립과 국제사회의 연대 필요성을 처음으로 제시한 이후, 정확히 1년 만에 동일한 장소에서 개최된 행사이다. 윤 대통령은 뉴욕 구상 발표 이후, 다보스 포럼, 하버드 대학교와 파리 소르본 대학교, G20 정상회의 및 UN 총회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질서 정립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국내외 전문가들과 논의 결과를 구체화하여 「디지털 권리장전」을 마련했으며, 이번 포럼을 계기로 원칙들을 전 세계 시민들에게 제시하는 것이다. 윤 대통령이 발표한 「디지털 권리장전」의 기본 원칙은 ➊디지털 환경에서의 자유와 권리 보장, ➋디지털에 대한 공정한 접근과 기회의 균등, ➌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사회, ➍자율과 창의 기반의 디지털 혁신의 촉진, ➎인류 후생의 증진 등 5가지이다. 위